Java23 3. 필드(Field) 📌 Goal 객체의 속성을 정의하는 필드를 이해하고, 세 가지 종류의 변수를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변수가 저장되는 위치를 설명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static 키워드가 무엇이며, 언제 사용되는 지 설명할 수 있다. 📌 필드(Field) ‘클래스에 포함된 변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객체의 속성을 정의할 때 사용 자바에서 변수는 크게 클래스 변수(class variable),인스턴스 변수(instance variable),지역 변수(local variable)로 구분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변수들은 주로선언된 위치에 따라 그 종류가 결정되며 각각 다른 유효 범위(scope)를 가지게 된다. 아래 예시를 한번 살펴보자. class Example { // => 클래스 영역 int instanc.. 2022. 7. 8. 2. 객체(Object) 📌 Goal 객체의 두 가지 구성 요소, 속성과 기능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클래스에 기반하여 new 키워드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클래스와 객체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둘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 객체(Object)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한 것 객체는 크게 속성과 기능이라는 두 가지 구성요소로 이뤄져있다. 속성과 기능은 각각 필드와 메서드로 정의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객체는 다양한 속성과 기능의 집합으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과 기능은 이너클래스와 함께 객체의 멤버(member)라 부른다. 코드를 확인해보면, 앞서 언급한 자동차의 속성과 기능이 Car 클래스 안에 각각.. 2022. 7. 8. 1. 클래스(Class) 📌 Goal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인 객체를 이해할 수 있다. 객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클래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구성요소와 기본 문법을 설명할 수 있다. 📌 클래스(Class) 객체를 정의한 '설계도(blueprint)' 또는 '틀(frame)’을 통칭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반대로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되고 설계된 내용 그대로 생성된다.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객체를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라 부른다. 또한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우리는 인스턴스화(instantiate)라고 한다. ✔️ 클래스의 선언 class 클래스명 { **// 클래스 정의** **-- 생략 --** } ✔️ 클래스의 구성요소 public class ExampleClass.. 2022. 7. 8.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