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23 3. 람다(Lambda) - Java 8 📌 Goal 람다식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 지 이해할 수 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람다를 다루는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람다식을 메서드 참조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 람다(Lambda) 함수(메서드)를 좀 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표현하기 위해 고안된 문법 요소이다. 기본적으로 람다식에서는 반환타입과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람다 함수를 종종 이름이 없는 함수, 즉 익명 함수(annonymous func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존 메서드 표현 방식 void sayhello() { System.out.println("HELLO!") } //위의 코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한 식 () -> System.out.println("HELLO!") 아래의 코드 예제로 람.. 2022. 7. 18. 2. 애너테이션(Annotation) 📌 Goal 애너테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표준 애너테이션과 메타 애너테이션이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내용이 있는 지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애너테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 애너테이션 (Annotation) 특정 코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애너테이션은 주석과 유사하게 “정보 전달"에 주요한 목적이 있지만 개발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주석과는 다르게 다른 프로그램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 애너테이션(Annotation)의 주요 역할 컴파일러에게 문법 에러를 체크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런타임에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스프링에서.. 2022. 7. 18. 1. 열거형(Enum) 📌 Goal Enum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Enum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 이해하고, 그 장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Enum의 문법 요소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열거형(enum) 열거형(enum)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며 final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할 수 있다. 열거형은 이러한 상수들을 보다 간편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바의 문법 요소이다. JDK 1.5 이전 버전에서는 enum 문법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여러 상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public static final을 통해 전역 변수로 상수를 설정하여 사용했다. public static final int SPRING = 1; p.. 2022. 7. 18. 5. Map <K, V> 📌 Map Map 인터페이스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객체를 Entry객체라고 하는데, 이 Entry 객체는 키와 값을 각각 Key 객체와 Value 객체로 저장한다. Map을 사용할 때에 중요한 사실은 키는 중복 저장될 수 없지만, 값은 중복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키의 역할이 값을 식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는 HashMap, Hashtable, TreeMap, SortedMap 등이 있다. ✔️ Map의 메서드 기능 리턴 타입 메서드 설명 객체 추가 Object put(Object key, Object value) 주어진 키로 값을 저장 해당 키가 새로운 키일 경우 null을 리턴하지만, 동.. 2022. 7. 1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