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etwork5 서브넷과 캐스트 📌 알림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서브넷(Subnet) 서브넷(Subnet) 특정 지역에서 관리되는 IP 영역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눠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class로 분리하는 주소 체계에서 네트워크 IP 영역과 호스트 IP 영역을 분리한다.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분리하는 이유는 브로드 캐스트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가 같다면 같은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는 호스트이고, 네트워크 부분을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구분한다. 10.0.0.0/24로 예를 들면, 앞에 24 비트인 10.0.0을 네트워크 영역, 나머지 0을 호스트 영역이라고 한다. 앞의 24 비트가 같다면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다. 총 비트 수는 32비트이다. 맨 뒤의 /24는 24비트까지.. 2023. 1. 25. CIDR(사이더) 📌 알림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사이더(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직역 그대로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이다. - 기존 IP 주소 할당 방식이었던 클래스를 대체하며 IP주소의 네트워크 영역, 호스트영역을 유연하게 나누어준다. - 서브넷 마스크는 /를 사용해서 명시한다. 📌 모의 면접 CIDR이 무엇인가요? CIDR는 직역 그대로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입니다. 즉, 도메인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인터넷 주소를 원래 IP주소 클래스 체계를 쓰는 것보다 더욱 능동적의로 할수 잇도록 할당하여 지정하는 방식중 하나입니다. CIDR은 서브넷 마스크, 서브네팅과, 슈퍼.. 2023. 1. 13. 포트와 소켓 📌 알림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포트(Port) 포트(Port)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해 호스트 내부적으로 프로세스가 할당받는 고유한 값이다. - 하나의 IP 주소 내에 개별적으로 부여된 통신 프로세스이다. - 포트의 범위 : 0 ~ 65535 📌 소켓(Socket) 소켓(Socket)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착점이다. - 소켓은 포트 번호에 바인딩 되어 TCP 레이어에서 데이터가 전달되어야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 소켓을 열기 위해선 호스트에 할당된 IP, 포트 번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 위 세가지가 소켓을 정의할 수 있지만 유일하게 식별하지는 않는다. - 보내는 쪽과 받는 쪽 모두 소켓을 열어야 한다.. 2023. 1. 13. DNS(Domain Name System) 📌 알림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이란 IP주소를 문자로 표현한 주소로 바꾸는 시스템 혹은 서버를 의미한다. 📌 모의 면접 DNS가 무엇인가요? IP주소를 문자로 표현한 주소로 바꾸는 시스템 혹은 서버를 의미합니다. www.google.com에 접속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먼저 브라우저, OS, 라우터, ISP 캐시에 저장된 DNS 기록을 통해 www.google.com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캐시에 해당 URL이 없으면 ISP의 DNS 서버가 google.com을 호스팅하고 있는 서버의 IP 주소.. 2023. 1.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