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TTP5

5. HTTP 📌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되었다.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서버도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응답한다. ✔️ Stateless HTTP는 특정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무상태성) Stateless는 말 그대로 상태를 가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HTTP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HTTP가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쇼핑몰에 로그인하거나 상품을 클릭해서 상세 화면으로 .. 2022. 8. 22.
4. URI와 DNS 📌 URI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혹은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이다. URI는 URL과는 다르게 자원을 식별하는데 비중이 있다. 예를 들어 은행계좌에는 계좌번호라는 식별자가, 버스는 노선번호, 사람은 주민등록번호 등으로 구분되는 식별자가 있다. 웹 서버의 리소스 또한 각자의 이름이 있다.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요청할 때 서버 리소스 이름을 통해 리소스의 위치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응답을 내놓는다. URI는 접근과 접근에 대한 방식이라는 의미에서 URL의 의미를 포함하고, 식별이라는 의미에서 URN의 의미를 포함한다.  ✔️ URI의 구성 스키마(Scheme) 웹 통신에서 사용.. 2022. 8. 5.
3. 포트(Port) 📌 포트(Port) 포트번호는 대상 IP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connection endpoint)을 특정하는 번호를 말한다. TCP와 UDP 둘 다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IP 프로토콜만 가지고는 한 IP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때, IP주소만으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없다. 포트 번호는 대상 IP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Connection Endpoint)을 특정한다. 위 그림과 같이 한 서버 인스턴스에서 웹 서버와 메일서버 두 개를 동시에 실행 중이라고 가정해보자. IP주소만으로는 어느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지 알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포트 번호를 사용해 receiver를 특정해 어느 서버로 보내는 요청인지 특정할 수 있다. 로컬 환경에서 Spring을 실행하면 나타.. 2022. 8. 3.
2.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과 프로토콜(Protocol) 📌 인터네트워킹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이라고 부른다.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두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연결된 시스템을 교환하려면 이를 적절히 연결하여 데이터를 중개할 수 있는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동한다는 의미는 물리적인 연결 뿐만 아니라, 데이터 중개에 필요한 상위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한다. 인터네트워킹은 그 네트워크의 일부에서 고장이 나도 영향이 광범위하게 퍼지지 않는다는 점과, 불필요한 통신이 네트워크 전체로 확산하지 않는다는점, 개별 네트워크를 각각의 방침에 따라 관리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터네트워킹하는 것이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The Internet)이다. 📌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이란 .. 2022.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