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네트워크(Network)
Network, 어원은 그물을 뜻하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 그물을 짜는 행위를 뜻하며 컴퓨터 용어로는 주로 통신망, 여러 개체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경로나 링크를 말한다.
📌 네트워크의 종류
- PAN ( Personal Area Network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LAN (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 WAN (Wide Ares Network)
광대역 네트워크 - VAN (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정보의 축적과 제공, 통신속도와 형식의 변화, 통신경로의 선택 등 여러 종류의 정보서비스가 부가된 통신망. -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 통신망(=BISDN) 전화, 팩스, 데이터 통신, 비디오텍스 등 통신관련 서비스를 종합하여 다루는 통합서비스 디지털 통신망
디지털 전송방식과 광섬유 케이블 사용. 꿈의 통신망이라 불린다. - 추가적인 네트워크 종류로는 WLAN, SAN, CAN, GAN, VPN, ISDN, Intranet, Extranet..등 분류하게 된다.
📌 LAN(Local Area Network)
Local Area Network의 줄임 말로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가까운 거리의 범위를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라우터나 TV, PC에 랜 케이블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나, 와이파이(Wi-Fi)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 랜의 방식들이 LAN 통신에 속한다.
✔️ LAN의 종류
Bus Topology (버스형)
- 모든 노드 들이 버스에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으며 상호 Point-To-Point 형태를 가지게 된다.
- 각 노드들의 연결은 어뎁터(Adapter)를 사용하며 양 끝 단에 Terminator를 두게 된다. 각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는 다른 장점을 가지며 CSMA/CD 방식을 주로 사용, 케이블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적게 드는 편이다.
Ring Topology (링형)
- 링(Ring)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통신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장거리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하다.
- 링 형태를 이루지만 노드간 통신은 Point - to - Point 를 가지며 각 노드에서 신호 재생이 가능 하기 때문에 버스 형태와 달리 거리 제약이 적으며 잡음에도 강하다.
Star Topology (성형)
- 중앙 제어 방식으로 모든 기기가 Point - to - Point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문제 해결이 쉽고 하나의 기기의 고장은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앙 제어 장비가 고장이 나면 모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케이블 사용량이 많으며 비용 또한 큰 편이다.
Mash Topology (메쉬형)
-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연결 된 기기나 노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네트워크가 동작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수가 많을 경우 모든 기기와 연결 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 사용량이 많으며 구조 또한 복잡하여 네트워크 관리가 힘들어 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데이터의 교환 방식
- Point to Point 교환방식(Point-to-Point Switching)
중앙컴퓨터와 터미널이 1대1로 독립적이고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 회선 교환방식(Circuit Switching)
중앙컴퓨터와 터미널 간에 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미리 정해진 경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한다. - Packet 교환방식(Packet Switching)
패킷형태의 데이터를 송신측 패킷교환기에 저장하였다가 수신측의 요청으로 수신측 패킷 교환기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 메시지 교환방식(Message Switching)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를 교환. 회선교환방식의 단점을 보완 하였다. 데이터의 크기에 제한이 없고 디지털 교환에 적합한 방식이다. - Multi Point 방식(Multi-Point Switching)
하나의 회선을 여러 개의 단말기로 연결한 다중 교환 방식이다.
✔️ 네트워킹 장비
- 허브(Hub)
네트워크에서 각 단말기의 집선장치이다. - 리피터(Repearter)
자동중계장치. 수신된 신호를 증폭, 회복시켜서 재전송하여 전송거리를 확장. 같은 규격의 케이블 사용한다. - 브리지 (Bridge)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연결. 혼잡한 네트워크상에서 수송량을 분리한다. - 라우터 (Router)
Protocol의 전환이 없거나 Protocol이 다른 3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전달 통로를 제공해 주는 Host - 게이트웨이 (Gateway)
Protocol이 전환(Converting)되거나 공통점이 전혀 없는 네트워크와 연결 하여 데이터 전달통로를 제공해 주는 Host
보통 Router와 Gateway는 같은 의미로 쓰인다.
📌 WAN(Wide Area Network)
Wide Area Network의 줄임 말로 LAN보다 범위가 넓은 광대역 통신망을 의미한다.
한정적인 범위에서 사용 되는 네트워크가 LAN이라면 넓은 범위에서 사용 되는 네트워크가 WAN(Wide Area Network)이라고 말할 수 있다. WAN은 서로 멀리 떨어진 LAN과 LAN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WAN을 통해 회사와 회사, 나라와 나라, 대륙과 대륙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 데이터의 교환 방식
- 전용선
가장 안전하지만 가격이 비싸다. 점대점 프로토콜(PPP), HDLC, SDLC, HNAS 프로토콜에 쓰인다. - 회선교환
가격이 싸지만 전화 설치로 문의해야 한다. 점대점 프로토콜(PPP), ISDN 프로토콜에 쓰인다. - 패킷교환
X.25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쓰인다. - 셀 릴레이
데이터와 소리를 동시에 전달하는데 가장 좋지만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댓글